본문 바로가기

남아메리카/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살아있는 격정, 그리고 시간이 멈춘 도시를 만나다

반응형

“탱고는 시인들이 언어로 기술하고자 하는 것들, 그리고 투쟁은 곧 축제라는 믿음에 대한 직접적인 표현이다.”(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보르헤스 같은 남미의 대문호야 탱고를 시로 표현할 수 있겠지만, 사실 탱고를 언어로 표현하는 것은 무용(無用)한 시도에 가깝다. 단조이면서 빠르고, 음울하면서도 격정적인 몸짓과 선율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가 있기나 할까. 탱고를 알고 싶다면, 역시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가는 수밖에 없다.

부둣가 마을 보카의 건물들은 색색의 레고 블록을 쌓아 만든 것 같다. 이 발랄한 동네에선 탱고 댄서들이 춤추자며 먼저 손을 내민다.

◇우아하고도 애틋한 '밀롱가' 탱고

우선 탱고의 탄생지로 알려진 '보카'에 갔다. 19세기 중반 이탈리아와 스페인 이민자들이 몰려 살던 부둣가다. 삶의 애환을 달래려던 이민자들 사이에서 탱고가 유래했다는 설(說)이 있는데, 보르헤스에 따르면 이들이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찾아가던 사창가에서 나왔다고 한다. 탱고에 깃든 관능과 슬픔이 어디서 나왔는지 알 듯하다.

이민자들이 가난과 향수에 몸부림쳤던 보카는 지금도 여전히 빈민가다. 이곳에 도착하자마자 가이드는 사람들이 많이 모인 몇 개 골목을 정해주곤 "다른 곳에는 절대 가지 말라"고 했다. 큰길에는 관광버스가 여러 대 서 있었고, 골목마다 카메라를 든 관광객과 호객꾼이 몰려들었다.

보카의 중심가인 엘 카미니토에선 공연을 펼치던 탱고 댄서들이 함께 탱고 포즈를 취하며 같이 사진을 찍어주기도 한다. 탱고가 유래한 동네라곤 하지만, 전형적인 관광지가 된 탓에 정작 탱고의 정취를 느끼긴 어려웠다. 대신 빨강·초록·노랑 등 색색으로 칠해진 원색의 건물들을 구경하며 길거리에서 파는 액세서리나 그림 등을 둘러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이날 밤 탱고 쇼를 볼 수 있는 극장 '카를로스 가르델'에 갔다. 스테이크에 와인을 곁들이며 2시간 넘게 이어지는 제대로 된 탱고쇼를 볼 수 있는 곳(1인당 AR$420)이다. 탱고 작곡가이자 가수인 가르델(1887~1935)은 '탱고 칸시온'(가사가 있는 탱고 음악)을 개척한 '탱고의 황제'로, 영화 '여인의 향기'로 유명해진 '포루 우나 카베사'를 작곡했다. 20대부터 60대로 보이는 10여 커플이 차례로 나와 다양한 곡에 맞춰 춤을 선보인다. 화려한 의상을 입고 곡예에 가까운 춤을 추는 이들을 보고 있자면 탄성이 절로 나오지만, '쇼는 쇼'라는 인상을 지울 수가 없다.

결국 다음 날 오후 밀롱가(탱고를 즐기는 장소)를 찾았다. 시내 한가운데 있는 밀롱가 '콘피테리아 아이디얼'은 1912년부터 시작된 유서 깊은 밀롱가로 유명하다. 탱고 교습도 해준다고 한다. 보통 밀롱가는 밤 12시부터 제대로 시작한다는데, 해지기 전 오후부터 여러 쌍이 춤을 추고 있었다. 대부분 40대 이상 중·장년이었고, 양복 주머니에 손수건을 꽂고 머리를 가지런히 정돈한 '멋쟁이' 할아버지들도 간혹 눈에 띄었다. 이들의 춤은 기교가 전혀 없이 소박한 편이었지만, 우아하고도 애틋했다.

탱고의 라틴어 어원인 '탕게레'(Tangere)는 '만지다' '가까이 다가서다' '마음을 움직이다'라는 뜻이다. 탱고를 추는 남녀는 상대방의 심장이 뛰는 소리를 피부로 느낄 수 있을 만큼 가슴을 밀착한다. 아니, 서로에게 기댄다. 정해진 스텝은 없고 남자가 이끌면 여자가 반의반 박자 정도 늦게 따라간다. 남자는 여자의 등을 손으로 안고서 신호를 준다고도 하지만, 심장 고동 소리만으로도 서로 의중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지 않을까.

‘리콜레타 공동묘지’에 가면 이 세계와 저 세계의 경 계에 발을 들여놓는 것만 같아 설레기까지 한다. 발소리를 죽이고 걸으면 벽 안에서 사람 말소리가 두런두런 들려올 것만 같다.

◇시간이 멈춘 듯한 '망자(亡者)들의 마을'

탱고가 현세(現世)에 대한 열망을 표현한다면,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부촌(富村) 리콜레타에 있는 '리콜레타 공동묘지'는 내세(來世)에 대한 열망이 서려 있다. 잘 알려진 장소지만 묘지라는 이유 때문에 여행자들이 생각보다 많지는 않다. 오전 11시 영어 투어 가이드를 무료 제공한다.

정문을 들어서자마자 삼나무가 보이고 큰길 양쪽으로 다시 작은 골목들이 나 있다. 얼핏 보기엔 유럽의 퇴색한 작은 마을 비슷하다. 무덤 하나하나가 작은 집이나 교회의 모습을 하고 있으니, '망자들의 마을'인 셈이다. 아르데코, 아르누보, 바로크, 네오 고딕 등 다양한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석재나 철문 중에는 밀라노에서 직접 공수해온 것도 있다.

무덤은 5000개에 이르는데, 한 가문의 무덤에 여러 구의 시신이 있기 때문에 몇 사람이 묻혔는지는 가늠하기 어렵다. "한평생 호사스럽게 살아도 리콜레타에 묻히는 것보단 돈이 덜 든다"는 말이 있을 만큼 유명하고 부유한 가문 출신만 이곳에 묻힌다. 셀 수도 없이 많은 골목 사이에는 재미있는 이야기들도 전해 온다. 한 무덤에는 서로 등을 지고 있는 남녀 두상이 세워져 있는데, 이들은 생전에 부부였다고 한다. 사치를 일삼는 아내에게 남편이 돈을 주지 않자, 아내가 "죽어서도 당신 얼굴을 보지 않겠다"고 했기 때문이란다.

공동묘지라곤 하지만 몇 시간을 돌아다녀도 질리지 않는다. 사람이 없는 골목이 많아 무덤가에서 뛰노는 고양이들을 벗 삼아 호젓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살아 있는 자들의 세상에선 찾기 어려운, 시간이 멈춘 듯한 곳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