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아메리카/쿠바

쿠바 아바나 : 자유의 엇갈린 이름

반응형

아무 것도 없어 전부가 되어 버린 - 말레콘 방파제

엘 말레콘(El Melecon)은 아바나의 북쪽 바닷가를 둘러친 8km 가량의 해안도로다. 여러 영화와 다큐멘터리들이 말레콘의 이 방파제를 아바나의 상징처럼 그리고 있는데, 거기에는 조금 역설적인 진실이 깃들어 있다. 말레콘에는 아무 것도 없다. 바다 쪽에는 한강 고수부지만도 못한 허름한 둑이 길게 이어져 있고, 길 건너편에는 과연 사람이 살고 있을까 싶은 낡은 건물들이 줄지어 있다. 그것이 쿠바다. 혁명의 꿈은 소비에트식 계획경제와 미국의 고립 정책으로 처참하게 좌절되었다. 아바나의 시민들은 버릴래야 버릴 게 없고, 살래야 살 것이 없는 신세를 수십 년간 겪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혹은 그럼으로 인해 말레콘은 진짜 아바나가 되었다. 빈털털이의 시민들은 이 방파제 외에는 갈 곳이 없었다. 그리고 거기에는 무한정으로 주어지는 태양과 파도와 바람과 비가 있었다. 그들은 돈을 줘도 살 수 없는 행복의 조각들을 모아 온갖 종류의 노래와 춤을 만들어냈다.

나의 ‘체’는 돈을 받지 않는다 - 혁명 광장

모스크바, 부다페스트, 평양. 공산주의의 수도들은 아직도 구 소련이 배급한 어두컴컴한 코트를 덮어쓰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아바나는 '섹시한 혁명의 도시'라는 독특한 이미지를 지니고 있다. 눈부신 카리브해의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다는 지정학적 조건도 무시할 수 없으리라. 그러나 가장 결정적인 이유는 역시 이곳이 체 게바라의 도시이기 때문이다.

체의 얼굴은 혁명 광장(Plaza de la Revolución)의 벽을 비롯해 도시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그 대부분이 우리에게도 매우 익숙한 아이콘 '영웅적인 게릴라(Guerrillero Heroico)'라 불리는 1950년대 체의 사진을 변형한 것이다. 사진을 찍은 알베르토 코르다(Alberto Korda)는 열렬한 공산주의자로, 자신의 작품에 어떤 대가도 요구하지 않았다. 그러나 체 게바라가 혁명과 자유의 아이콘이라는 경계를 넘어 상업적 이미지로 팔리는 데는 우려를 나타냈다. 급기야 스미노프가 감히 보드카 광고에 체의 얼굴을 사용하자 반대에 나섰고, 5만 달러의 로열티를 받아내 쿠바의 의료 지원제도에 기부했다.


체의 이미지는 아일랜드의 짐 프리츠패트릭 등 세계적인 아티스트들의 작품으로 재탄생했다. 1968년 뉴욕의 지하철 광고를 시초로 쿠바의 가장 강력한 적인 미국 곳곳에 퍼져나갔다. 2003년의 <뉴욕 옵저버>는 코르다가 체를 섹시한 혁명 영웅으로 만든 패션 사진가였다고까지 말한다.


알베르토 코르다는 자신이 찍은 체가 누구의 소유물도 아니라고 했다.

시가 연기는 제 멋대로 흐른다 - 파르타가스 담배 공장

영화 [여인의 향기]에서 자살을 결심한 알 파치노는 자신이 데리고 다니던 청년에게 말한다. "몬테크리스토 넘버원을 사와." 쿠바 산의 이 명품 시가를 구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것이고, 그 사이에 충분히 목숨을 끊을 수 있으리라 여긴 게다. 그런데 왜 쿠바의 담배에 '몬테크리스토'라는 이름이 붙었을까?

1913년 솔트레이크 시티에서 아바나 산 시가를 배달하는 자동차


쿠바의 담배 공장에서는 장시간 일하는 노동자들을 위해 소설책을 읽어주는 전통이 있었는데, 그 중 가장 인기 있었던 것이 뒤마의 [몬테크리스토 백작]이었기 때문이란다.


콜럼부스가 처음 쿠바 섬에 도착했을 때에도 이곳 원주민들은 담배를 피우고 있었다. 그리고 지금도 쿠바 산 시가는 이 가난한 나라를 먹여 살리는 가장 중요한 수출품이다. 캐피톨 빌딩 근처의 파르타가스(Real Fabrica de Tabacos Partagás)는 아바나에서 가장 오래된 담배 공장 중의 하나로, 쿠바 담배 산업의 역사를 볼 수 있는 박물관을 열고 있다. 1845년에 지어진 이 건물은 그 멋진 크림색 외관만으로도 많은 여행객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공 하나로 자유를 찾아 - 라티노아메리카노 스타디움

한국과 쿠바는 묘한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데, 그것은 이 지구상에서 야구에 목숨 거는 몇 안 되는 나라라는 사실이다. 지난 WBC와 올림픽을 통해 한국팀이 세계적인 위용을 과시했지만, 과거 아마추어 야구에서 쿠바는 대마왕과 같은 압도적인 존재감을 과시해왔다.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쿠바 야구는 이제 국민 스포츠라는 말로도 부족할 만큼의 위치에 올라서 있다. 동네 공터에서 공을 던지고 나무 방망이를 휘두르는 소년들은 국가대표 야구 선수가 되는 것이 가장 큰 꿈인데, 그 꿈을 이룬 순간 중대한 기로에 선다. MLB의 계약서에 도장을 찍느냐, 마느냐? 아바나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갑부가 될 것인가, 혁명 쿠바를 지키는 영웅으로 남아 있을 것인가? 수많은 쿠바인들이 보트에 매달려 필사의 탈출을 벌일 때, 그들은 야구공을 타고 자유를 향해 날아가는 것이기도 하다.


아바나의 라티노아메리카노 스타디움(Estadio Latinoamericano)은 카리브해에서 가장 유명한 야구 경기장이다. 5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관중석, 명예의 전당을 비롯한 역사적 유물, 카페와 편의 시설들이 갖추어져 있다. 일주일에 다섯 번 펼쳐지는 야구 경기는 쿠바인의 열정을 스타디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라고 한다.


라틴 아메리카 선수로는 최초로 메이저리그에서 뛴 에스테반 벨란


부에나비스타 소셜 클럽의 마지막 흔적 - 콤파이 세군도의 집

모든 음악은 아바나를 지나야 했다. 그리고 아바나에 들어온 뒤에는 그냥 떠나지 못했다. 하바네라, 손, 맘보, 차차차, 살사, 룸바. 쿠바가 탄생시킨 음악들의 리스트는 끝이 없다.

아바나의 할아버지 할머니 뮤지션들에 의해 세계는 무장해제 당했다.


아메리카 대륙의 아래위를 대표하는 아르헨티나의 탱고와 뉴욕의 재즈에서도 아바나를 발견하기란 어렵지 않다. 그러나 쿠바 혁명 이후 카스트로의 설교 속에 음악가들의 삶은 밑바닥으로 꺼져갔다.


다행인 것은 움츠려 있었지만 죽지는 않았다는 사실이다. 죽기 직전의 그들을 불러 모은 이가 있었다. 수십 년간 골방에서 졸고 있던 쿠바 음악은 1997년 '부에나비스타 소셜 클럽' 프로젝트를 통해 화려하게 부활했다. 라이 쿠더는 1940년대 전성기를 누렸던 클럽의 멤버들을 다시 모아 허름한 스튜디오에서 음반을 만들고 해외 투어에 나섰다. 빔 벤더스는 그 과정을 다큐멘터리로 담았다. 혁명이란 바로 이런 거였다. 세계는 아바나의 선율에 무장해제 되었다.


부에나비스타의 할아버지 할머니들은 마지막 불꽃을 피운 뒤 하나둘 세상을 떠났다. 지금도 아바나에는 '부에나비스타'라는 이름을 단 연주들이 여러 호텔과 공연장에서 이어지고 있지만, 관광객들을 위한 여흥인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한다. 부에나비스타의 정신적인 리더였던 콤파이 세군도가 마지막을 보낸 집(Casa Compay Segundo)은 지금 작은 박물관이 되어 그들의 마지막 영광을 기린다.

딸기냐 초콜릿이냐, 혁명이냐 아이스크림이냐? - 코펠리아

아바나로부터 날아온 음악들을 듣다 보면 가끔 고개를 갸우뚱하게 된다. 이런 자유로운 감성의 사람들이 어떻게 카스트로의 영구 집권을 견뎌왔을까? 그런데 역시나 고뇌는 있었다. 젊은이들, 특히 소수의 감성을 지닌 이들에게 아바나는 아이러니로 뒤범벅된 도시다.


1993년의 영화 [딸기와 초콜릿]에서 두 주인공은 아바나 중심가의 아이스크림 가게 '코펠리아(Coppelia)'에서 처음 만난다. 공산당원인 대학생 다비드의 테이블에 딸기 아이스크림을 들고 온 디에고. 초콜릿이 있는데도 굳이 딸기를 시키는 남자, 쿠바에서 그것은 동성애자임을 공공연히 드러내는 것. 다비드는 공산당이 '반혁명 변태분자'로 낙인찍은 게이의 행동을 감시한다는 명목으로 디에고의 집을 찾아간다. 이렇게 호기심으로 시작한 관계는 점차 다비드가 갖고 있던 완고한 세계관은 흔들게 된다. 둘은 서서히 서로를 이해해가고 딸기와 초콜릿을 바꿔먹기도 하지만, 쿠바의 현실은 그들의 자유로운 만남을 용납하지 않는다.


쿠바의 여러 도시들은 즐거운 사교의 공간인 아이스크림 가게 '코펠리아'를 갖고 있다. 이들이 만난 아바나의 코펠리아는 1960년대에 지어진 건물로 마치 그 시절 SF 영화에 나왔을 법한 특이한 생김새를 하고 있다. [딸기와 초콜릿] 덕분에 더욱 유명해졌고, 길 건너편에 있는 극장 시네 야라(Cine Yara)에서 이 영화가 기록적인 흥행을 했다고 한다.


초콜릿이 있는데도 굳이 딸기를 시키는 남자, 그것은 동성애자라는 뜻?


맘보와 살사, 모든 춤이 태어난 바닷가 - 미라마르

아바나는 음악과 춤을 결합한 여러 엔터테인먼트를 준비해두고 있다. 트로피카나 클럽의 캬바레 댄스 쇼.


아바나는 스페인이 지배한 카리브해 식민지들의 수도였다. 여러 식민 도시에서 긁어모은 금은보화와 신대륙의 산물들은 아바나 항에 모인 뒤, 해적들과 암초들을 피해 세비야로 향했다. 더불어 이 바닷가는 아프리카의 노예들과 유럽의 개척자들이 태양 아래 어우러져 온갖 음악과 춤을 만들어 낸 곳이기도 하다.


아바나는 언제나 자유분방하고 매력적인 춤을 만들어내고 세계로 퍼뜨려온 도시다. 1940년대 중반에는 맘보, 50년대 중반에는 차차차, 그리고 1960년대 중후반에는 쿠반 살사가 그 영광의 스텝을 이어왔다. 쿠바 전통의 음악이자 춤인 손과 룸바로부터 많은 요소를 이어받은 쿠바 스타일의 살사는 카지노(Casino)라고도 불리는데, LA 살사와 대별되는 자유분방한 스타일로 지금도 인기가 높다. 아바나의 바닷가와 주거 지구가 만나는 미라마르(Miramar) 지역은 쿠반 살사를 비롯한 여러 쿠바 스타일 댄스의 탄생지이다. 영화 [더티 댄싱: 하바나 나이트]는 1958년의 혁명을 배경으로 아바나의 춤을 그리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