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럽/체코

체코 프라하 : 카프카 소설 옮겨 놓은 듯… 울긋불긋 色 입은 도시

반응형

체코 '프라하 황금소로'

프라하는 체코의 수도이다. 그리고 그 이전에는 보헤미아왕국의 수도였다. 집시들이 보헤미아왕국 외곽에 집단 거주하면서 보헤미안이라는 말이 떠돌이 방랑자를 의미하는 일반명사가 됐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보헤미아왕국의 수도라는 말이 주는 느낌은 자리를 못 잡고 떠도는 영혼들의 도시처럼 들려 왠지 아릿하다.

프라하는 우리가 생각하는 유럽의 이미지와 가장 근접한 도시라 생각한다. 책으로 읽었고 상상으로 키워왔던 유럽이라는 이미지와 많이 부합되기 때문이다. 중세 유럽의 느낌이 물씬하며 돌이 깔린 울퉁불퉁한 포도(鋪道)에 면한 울긋불긋한 집들이 현실의 도시라기보다는 동화 속의 도시와 같은 느낌으로 다가온다.

그림= 임형남
그림= 임형남 
더군다나 프라하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이 현대인의 삶의 형상을 우화적으로 써서 현대 문학의 문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카프카이기에 더욱 그렇다. 아일랜드의 수도 더블린 하면 더블린을 배경으로 '더블린 사람들' '율리시즈'라는 대작을 썼던 소설가 제임스 조이스가 생각나고, 미국의 뉴욕은 '뉴욕 삼부작' 등 뉴욕에 대해 많은 소설을 썼던 폴 오스터라는 소설가가 생각난다. 또한 터키의 이스탄불에는 노벨상을 받은 소설가 오르한 파무크가 있다. 많은 도시가 그 도시를 배경으로 혹은 소재로 글을 쓰고 생각을 펴낸 문학가들을 자산으로 삼고 있다.

'정착하지 못하고 떠돌았던 경계인'이라 불리는 프란츠 카프카(Franz Kaf ka·1883~1924)는 고작 41년 동안 세상에 머물며 내놓은 작품도 몇 권 되지 않는 변방의 소설가였지만, 사후 알려진 그의 글은 세상을 흔들었다. 그의 소설은 마치 간밤에 꾸었던 악몽을 감정을 최대한 배제하고 들려주는 것 같이 메마르고 공포스러웠다. 카프카의 오묘한 문체와 이야기는 중세로 시간 여행을 하는 듯한 착각을 만들어주는 프라하에 또 다른 색을 입혀주고 있다.

카를교, 화약탑, 유명 건축가 프랭크 게리의 '댄싱 빌딩' 등 많은 명소가 있는데 그중에서도 황금소로(Golden Lane)는 무척 유명한 골목길이다. 좁고 긴 골목길에 늘 관광객이 그득하다. 프라하 성의 북측 외곽에 있는 이 길은 성벽과 바로 붙어 있다. 원래는 성의 경비병들의 숙소로 만들어진 곳으로 골목 안 서로 다른 얼굴을 가진 다양한 집에 들어가 2층으로 올라가면 성벽과 붙은 복도와 통하게 되어 있다.

그 복도는 성의 경비 및 유사시 방어의 목적으로 만들어진 통로라는데, 이후 이곳에 연금술사들이 살게 되어 황금소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이후 이곳을 서민에게 임대해주게 되지만, 연결되어 있어 쓸모없는 2층을 빼면 1층의 면적이 무척 작아 그곳을 쓸 수 있던 사람은 아마도 무척 제한적이었을 것이다.

집의 정면 문설주 위에는 일련번호가 적혀 있다. 그중 22라고 쓰여 있는 집에 유독 사람들이 많이 몰린다. 그 22호 집이 바로 소설가 카프카가 살았던 집이다. 평생 프라하에서 살았던 카프카의 일생에서 이곳에서 살았던 기간은 짧다. 그는 1916~1917년 사이 잠시 이곳에 살면서 글을 썼다고 한다.

카프카가 하나의 상징인 것처럼 황금소로도 마치 하나의 상징 같다. 궁 안에 뜬금없이 나타나는 골목이며, 마치 동화 속의 집처럼 알록달록하며 원래의 크기를 8할 정도 축소해놓은 듯한 그 모습이 무척 비현실적이다.

황금소로를 찾아가는 경로는 조금 특이하다. 도시의 길을 따라 들어가는 마을이 아니라 입장료를 내고 프라하 성으로 들어가 관람하게 된다. 비투스대성당과 이르지교회를 지나 건물을 끼고 왼편으로 들어가면 나오는 그리 길지 않은 골목을 따라 가다 보면 금세 길이 끝나며 건물이 하나 막아선다. 그리고 그 앞에는 두 개의 문이 나타난다.

그 문을 통해 들어가면 각각 전혀 다른 성격의 공간을 만나게 된다. 오른쪽 문으로 들어가면 체코의 영화감독 조셉 카즈다의 유품과 영화 필름들이 보관되어 있는 장소가 나온다. 왼쪽 문은 달리보르카탑으로 이어지는데, 이곳은 지하 감옥과 죄수들을 고문했던 흔적이 그대로 남아 있는 아주 으스스한 곳이다.

좁은 길과 비현실적으로 아기자기하고 알록달록한 집들, 그리고 골목을 내리누르는 두껍고 높은 성벽, 그리고 막다른 길과 그 문 너머의 상반된 공간은 마치 카프카의 소설 같다.

'K는 밤늦은 시각에 도착했다. 마을은 깊이 눈 속에 파묻혀 있었다. 성이 있는 산은 안개와 어둠에 둘러싸여 있어서 전혀 보이지 않았고, 커다란 성이 있음을 알려 주는 아주 희미한 불빛조차도 눈에 띄지 않았다. K는 국도에서 마을로 통하는 나무다리 위에 서서 아무것도 없어 보이는 허공 속을 한참 쳐다보았다.'- 카프카의 '성' 중에서

나는 '성'이라는 길고 지루한 소설로 카프카를 처음 만났다. 450쪽 정도 되는 장편이었다. 어린 시절 명작이라기에 아무 생각 없이 펼쳐들었다가 도저히 끝까지 읽을 수 없었다. 이후 몇 번 시도한 끝에 겨우 마지막 쪽까지 다 읽었는데, 그 끝이라는 것이 이야기를 하다 잠시 자리를 비운 것처럼 진정한 끝이 아니었다.

골목이라는 것이 원래 시작도 없고 끝도 없으며 어디선가 들어오기도 하고 어디론가 홀연히 빠지기도 한다. 카프카의 소설을 읽다 보면 마치 내가 어떤 모르는 동네로 끌려와서 골목 한가운데 놓인 느낌이 든다.

'성'은 미완성으로 끝난 카프카의 대표작이며 마지막 소설이다. 황금소로의 집에서 그 글을 쓴 것은 아니었다 한다. 그래도 세계에서 가장 큰 성이라는 프라하 성과 성에 속해 있지만 성 안이라고 할 수 없는 언저리에서 성을 바라보는 느낌은 내내 성에 대한 소문만 듣다가 끝나는 소설의 느낌과 너무나 비슷하다. 나는 선과 악, 현실과 환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카프카의 소설 속으로 들어가 K가 된 듯한 착각 속에 빠져서 길의 끝에서 만나는 문화와 야만을 상징하는 두 개의 문을 바라보았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