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현을 요동치게 만드는 슬픈 노래 파두의 나라. 세계로 수출되는 독하고 달콤한 포트 와인의 나라. 바스코 다가마의 대항해의 시대를 열어 16세기의 ‘슈퍼파워’였던 나라. [눈먼 자들의 도시]로 눈 뜬 자들을 숙연하게 만든 주제 사라마구의 나라. 그 포르투갈이 품은 마법의 성 신트라. 옛 영광의 흔적들이 한가득 830km에 이르는 해안선을 지닌 포르투갈은 늘 바다를 지켜보고, 바다로부터 영감을 얻고, 바다를 통해 세계로 나아갔다. 수도 리스본에서 북서쪽으로 28km 지점의 작은 도시 신트라에서도 바다는 손에 잡힐 듯 가깝다. 신트라는 포르투갈이 바다를 통제함으로써 획득한 식민지의 수탈로 이루어진 영광이다. 신트라-카스카이스 자연공원(Parque Natural de Sintra-Cascais) 안에 깃든 신트라는 시인 바이런이 ‘찬란한 에덴’이라고 불렀을 만큼 옛 영광의 흔적들이 가득하다. 바이런의 표현을 빌리자면 ‘다채로운 산과 계곡으로 이루어진 미궁들의 중재자’로서 녹음이 우거진 숲 속에 옛 왕궁인 신트라 성과 노이슈반슈타인성의 모델이 되었다는 페냐성, 아름다운 정원 몬세라테 등 독특한 정취가 가득하다. 타고난 자연환경과 인간이 만든 건축물 사이의 향기로운 조화로 인해 마을 전체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신트라는 초기 이베리아인들의 컬트 예배의 중심지였고, 북아프리카 무어인들의 정착지였으며, 중세에는 수도사들의 은둔처였으며, 19세기에는 유럽의 낭만주의 건축의 교두보였다. 정형을 벗어난 궁궐과 성채, 기괴한 상상력으로 가득한 대저택, 돌이 깔린 좁은 골목과 파스텔 색조의 건물들이 깊고 울창한 숲 곳곳에 숨어 있어 보물찾기 하듯 둘러보기 좋은 마을이다. |
무어 성에서 내려다보는 신트라 왕궁의 모습.
|
엉뚱하고 기괴한 상상혁이 발휘된 킨타다레갈레이라의 건물 |
샘터의 타일 장식 |
|
7세기 무렵 무어인들에 의해 지어진 무어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