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럽/프랑스

프랑스 파리 : 만남과 이별의 도시

반응형

앙드레 지드와 제임스 조이스가 만난 ‘셰익스피어 앤 컴퍼니’

1919년 11월 19일 미국문학전문서점인 ‘셰익스피어 앤 컴퍼니(Shakespeare & company)’가 문을 열었을 때 두 번째 손님으로 문을 열고 들어온 것은 앙드레 지드였다. 그의 나이 쉰이었을 때이니, [전원교향곡]을 지은 바로 그 해다. 이곳은 서점으로 문을 열었으나 워낙 고가의 수입서들을 다루다 보니 초기에는 실질적으로 책 대여점 역할을 했다. 앙드레 지드는 이곳에 장부를 만들어두고 바지런히 책을 빌려갔다. 당시 제임스 조이스는 37세였다. 1920년에 파리로 돌아온 그는 새로운 문학의 핵심을 자처했다. 1918년부터 연재하던 [율리시즈]가 ‘풍기상 유해하다’며 온갖 수난을 당하던 와중에, 그 책을 출판하겠노라 나선 것이 바로 ‘셰익스피어 앤 컴퍼니’의 사장인 실비아 비치였다. 이곳의 단골이던 수많은 문인들이 [율리시즈]의 출간에 어떻게 힘을 실었을지 짐작 가능하다. 앙드레 지드와 제임스 조이스가 서로 깊은 우정을 나누었다는 기록은 없지만, 서로의 작품을 눈여겨 보았을 것은 자명할 터. 그들이 서점 문간에서 나눴을 대화들이 궁금하다.



안락한 호텔에서 벌이는 신경전, 헤밍웨이와 피츠제럴드의 ‘리츠호텔’

남성적이고 활달한 매력을 가졌던 헤밍웨이와 섬세하고 예민했던 스콧 피츠제럴드의 우정과 파국은 유명하다. 주로 피츠제럴드가 헤밍웨이에게 찬사를 퍼부었지만, 헤밍웨이 또한 "그의 재능은 나비의 날개가 만들어 낸 먼지의 무늬만큼이나 자연스러운 것이다"라며 그를 인정했다. 그러한 인정이 서로를 오히려 견제하게 한 것일까? 그들의 끝은 좋지 않았다. 1940년대 리츠호텔의 단골손님이던 헤밍웨이는 "천국에 관한 꿈을 꿀 때면, 그곳은 언제나 리츠호텔입니다"라며 찬사를 아끼지 않았고, 피츠제럴드 또한 [리츠 호텔만한 다이아몬드]라는 단편을 쓰며 각별한 애정을 보였다. 헤밍웨이는 두 번째 부인인 폴린과 같이 플로리다로 떠나면서 두 개의 트렁크를 리츠호텔에 남겨두고 가는데, 이를 호텔 지하에서 샤를 리츠가 발견하면서 [헤밍웨이, 파리에서 보낸 7년]이 세상에 나오게 된다. 이 책에는 파리에서 만난 많은 사람들과의 에피소드가 적혀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스콧 피츠제럴드에게 갖고 있던 양면적인 감정이 눈에 띈다.





호화롭기로 유명한 리츠호텔에는 '헤밍웨이 바'가 있어 그를 기념한다.

죽어서 만난 두 인기스타, 짐 모리슨과 오스카 와일드가 함께 잠든 ‘페르 라세즈 공원묘지’

시대를 잘못 타고난 이들이 뒤늦은 사랑을 아낌없이 받고있다.


페르 라세즈 공원묘지에 잠든 유명인사들은 많다. 발자크, 프루스트, 쇼팽, 모딜리아니, 알퐁스 도데, 이사도라 덩컨, 마리아 칼라스, 에디트 피아프 등등. 수많은 사람들이 그들을 만나기 위해 지도를 들고 넓은 묘지를 헤맨다. 그 중에서도 가장 열렬한 호감의 세례를 받는 이는 누구일까? 무덤은 정직하니, 무덤 위에 바쳐진 꽃과 선물, 키스 자국이 그 인기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1943년에 태어나 1971년 파리의 아파트 욕조에서 심장마비로 죽은 록밴드 '도어즈'의 리드싱어 짐 모리슨의 조촐한 무덤은 수많은 사람들이 바친 꽃과 선물들로 뒤덮여있다. 하지만 그보다 더 뜨거운 호의로 뒤덮여있는 것은 오스카 와일드의 무덤이다. 그의 비석은 전 세계 여성들의 키스마크로 도배되어 있다. 그가 동성애 때문에 감옥살이를 하고 비참한 최후를 마친 것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일이다. 화려한 인기를 구가하다가 공연 중 성기를 노출하여 비난을 받고, 결국 약물과다로 인한 심장마비로 쓸쓸한 최후를 마친 짐 모리슨과 유미주의의 화신으로 화려한 주목을 받다가 동성애로 인해 감옥에 가고 결국 비참한 최후를 맞이한 오스카 와일드는 어딘가 닮았다. 시대를 잘못 만난 이들의 안식처에서 뒤늦은 인기를 누리며 잠들어 있다는 것조차도.


오랜 연인을 위한 오래된 카페, 쇼팽과 조르주 상드의 ‘카페 르 프로코프’

카페 르 프로코프는 1686년 처음 문을 열었다. 그 세월이라니! 세월만큼이나, 그곳의 단골들의 목록은 길다. 몰리에르, 라신, 발자크, 볼테르, 로베스피에르, 나폴레옹…. 그리고 그곳에 다음과 같은 수줍은 이름도 있다. 쇼팽과 그의 연상의 애인 조르주 상드. 천박한 남편과 아이들을 버리고 파리에 와 남장을 하고 문인들과 어울리며 소설을 썼던 조르주 상드는 자유분방한 연애로도 유명했는데, 그녀의 가장 유명하면서도 애처로운 애인이 쇼팽이다. 그들은 1836년, 쇼팽이 스물여섯 살 때 만나 1847년, 그가 서른일곱 살 때 헤어진다. 그리고 2년 후 쇼팽은 세상을 뜨게 된다. 일생 동안 폐결핵을 앓았던 쇼팽은 조르주 상드의 모성적인 극진한 보살핌을 받다가 결국 병을 이겨내지 못한 것이다. 쇼팽을 만날 당시 서른둘이었던 상드는 자신에게는 없는 면모 때문에 쇼팽을 좋아했으나 결국 "그는 극도로 예민하고 섬세하며 어린아이다운 순진함도 지니고 있다. 하지만 그는 편협하기 짝이 없는 상투적인 틀 안에만 갇혀 있다"라고 인정하게 된다.


연약한 쇼팽,강인한 조르주 상드는 들라크르와의 눈을 통해 이렇게 재탄생했다.

화려함 속의 두 그늘, 고흐와 로트렉의 ‘물랭루즈’

로트렉의 눈에 비친 물랭루즈


물랭루즈로트렉을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있을까? 그는 물랭루즈의 화가였다. 처음 파리에서 화가로 명성을 얻은 것이 바로 물랭루즈의 포스터 덕분이었는데, 파리 전역에 뿌려진 이 포스터를 수집가들이 떼어가려고 경쟁이 붙었다고 한다. 프랑스의 유서 깊은 집안 귀족가문에서 태어났으나 유전병으로 기형적인 몸매가 된 그는 "다리만 길었어도 화가는 되지 않았다"고 자조했다고. 그러한 콤플렉스와 고통스러운 치료과정은 그를 술로 이끌었고, 결국 정신병원을 오가던 그는 알코올 중독과 발작으로 요절하고 만다. 그러한 로트렉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준 화가가 반 고흐였다. 당시 몽마르트르 언덕을 오르내리며 압생트에 취해 비틀거리던 고흐 역시 몽마르트르의 다양한 풍경들을 화폭에 담았다. 로트렉, 고갱 등과 함께 독자적인 인상파 모임을 만들고 싶어했던 고흐는 결국 실패하고 끝내 권총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물랭루즈의 화려한 붉은 풍차 밑에는 이렇듯 캄캄한 시간들이 있었던 것이다.



사르트르와 보부아르의 열린 서재 ‘카페 드 플로르’

사르트르보부아르는 열린 사람들이었다. 서로를 구속하지 않으면서도 서로에게 굳건한 사람이 되기 위해 맺었던 그들의 ‘계약결혼’은 유명하다. 그들은 또한 정해진 작업실도 싫어했다. 카페를 전전하며 시끄럽고 번잡한 와중에 글쓰기를 좋아했던 그들은 특히 카페 드 플로르를 좋아했는데, 그곳을 좋아한 것은 이들뿐이 아니었다. 롤랑바르트, 앙드레 말로, 프레베르, 아폴리네에르 등등. 플로르의 주인인 폴 부발은 그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촌평한 바 있다. "사르트르는 우리 카페를 찾는 손님 중 최악의 손님이었습니다. 차 한잔을 앞에 두고서 몇 시간이고 죽치고 앉아 알 수 없는 무언가를 계속 쓰고 있었으니 말입니다." 하지만 그는 메뉴판에 "나에게 있어 플로르에 이르는 길은 자유에 이르는 길이었다"라는 사르트르의 글을 적어두는 상술을 발휘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젊은 날 만나 50년 이상 이어졌던 그들의 계약결혼은 한 무덤에 나란히 묻힘으로써 아름다운 결말을 맺었다. 그리고, 그들이 앉았던 자리에는 또 다른 새로운 사람들이 와 차 한잔을 시켜놓고 알 수 없는 무언가를 쓰고 있다.




카페 드 플로르는 여전히 성업중

낯선 이국땅에서 만난 이방인, 이옥과 모리 아리마사의 ‘파리7대학’

이옥은 연세대학교에서 한국사를 전공했다. 전임강사로 있던 그는 모든 것을 버리고 파리로 삶의 자리를 옮겼다. 그는 파리7대학의 한국학과 교수가 되었고, 프랑스에서 한국학을 창설하면서 한국학 연구소 소장을 맡았다. 그가 죽을 때 그는 파리7대학의 명예교수였고, 국민명예훈장과 교육공로훈장 그리고 대한민국 국민명예훈장의 수상자였다. 그는 파리지앵답게 몽파르나스 묘지에 뼈를 묻었다. 비석에 한글 두 글자 새기고. 그가 파리에서 만났던 모리 아리마사 또한 그와 닮았다. 도쿄대 불문과를 나와 동대학 조교수를 맡았던 그는 파리로 온 뒤 고향에 남아있던 교직을 버리고, 부인과 이혼하면서까지 파리에 남았다. 파리에서의 삶은 녹록하지 않았으나, 그는 아름다운 수필을 쓰며 견뎠다. 파이프 오르간 연주의 국제적 권위자이자 동양어학교 교수로. 그들이 만났던 파리는 그들 누구의 고향도 아니었지만 어느 누구의 고향이기는 했을 터. 결국은 그들의 고향이 되었을 터. 그토록 그들을 매혹케한 도시, 그 도시에 대한 애정만으로도 그들은 서로를 알아보았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