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있는 여신의 시선, 쿠마리 사원
![](http://ncc.phinf.naver.net/ncc02/2009/12/16/14/7px.jpg)
네팔에는 살아 있는 여신이 있다. 당신이 운이 좋다면, 혹은 동전 몇 푼을 낼 용의가 있다면 그 여신이 당신을 창 밖으로 내다보며 응시하는 시선을 느낄 수도 있다. 그녀가 갑자기 울거나 웃거나, 혹은 부르르 떨지 않고 당신을 가만히 바라본다면 그것은 당신의 소원이 이루어졌다는 뜻이다. 신의 땅 네팔의 살아있는 여신, ‘쿠마리’는 현재 요란한 아동학대 논쟁에 휩싸인 채 아직도 더르바르 광장의 남쪽 끝에 있는 목조 사원 안에서 가끔 밖을 내다보며, 그렇게 살고 있다.
‘쿠마리’는 어린 소녀들 중에서 선출된 신이다. 쿠마리는 ‘탈레주’ 여신의 화신으로 여겨진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는 이렇다. 여신 탈레주는 인간의 몸을 빌려 카트만두 왕국에 내려왔다. 왕은 여신을 극진히 모셨으나, 너무도 아름다운 모습에 그만 이성을 잃고 만다. 하마터면 인간 왕에게 욕을 당할 뻔한 탈레주 여신은 분노하여 그만 사라지고 말았다. 돌아오지 않는 여신에게 끈질기게 기도한 왕의 정성은 결국 탈레주 여신의 마음을 누그러뜨렸다. 여신은 어린 여자아이를 선택하여 섬긴다면 그녀의 몸에 깃들겠노라 약속했다. 그것이 바로 ‘쿠마리’의 시작이다.
쿠마리의 선택과정은 엄격하다. 어느 정도 사리를 분별할 수 있다 생각되는 3세에서 5세의 나이, 네왈리의 카스트를 지니고 석가모니의 후손이라 여겨지는 샤카족에서 태어나야 후보자에 이름을 올릴 수 있다. 보리수 같은 몸, 사슴 같은 허벅지, 소와 같은 눈꺼풀, 고등 같은 목. 몸에 흉터가 없고 눈과 머리카락은 새카만 색이어야 한다. 32가지의 기준을 만족시키면 테스트가 기다리고 있다. 캄캄한 방에서 소, 돼지, 양, 닭 등의 피투성이 사체들과 하루를 보내야 하는 것. 울지도 않고 침착하다면 그녀는 쿠마리로서의 능력을 인정받게 된다.
그 이후의 삶은 신으로서의 삶이다. 외부출입은 금지되고 1년에 열댓번, 종교의식 때 사원 밖으로 외출할 수 있다. 특히 9월 인드라 자트라 축제 때는 그녀의 앞에 국왕이 무릎을 꿇고 복을 구한다. 짙은 화장을 하고, 이마에 ‘티카’라 불리는 제 3의 눈을 그려 넣는다. 어떤 경우에도 몸에서 피가 나서는 안 되며, 사람들에게 늘 안겨 다닌다.
몸에서 피가 나거나 생리를 시작하게 되면 쿠마리의 생활을 마감하고 집으로 돌아간다. 이후 그녀를 대체할 다른 쿠마리가 그 자리에 앉는다. 여신에서 평범한 소녀로 돌아가는 삶이 순탄할리는 없다. 예전에는 그 이후의 삶이 신산하기 짝이 없었으나, 요즘은 나름대로 이후의 삶을 모색하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개인교사에게 교육을 받고 중등교육과정 졸업자격에 합격하거나 영어를 익히는 그녀들. “경영학을 공부해 은행에서 일하고 싶다”는 꿈을 가진 인간적인 여신이라니, 낯설지만 그 또한 현재 네팔이 가지고 있는 모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