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쉽게 다가가는 러시아의 양대 보고

모스크바는 러시아 최대 도시다. 도시의 이름은 모스크바강의 이름을 따라 명명됐다. 1147년 러시아 정교 수도사들이 기록한 연대기에 처음 그 이름이 등장한 모스크바는 당시만 해도 키예프 공국의 한 촌락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18세기 초부터 1918년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가 수도를 대신했던 기간을 제외하고 14세기부터 지금까지 러시아의 수도로서 그 지위를 공고히 해왔다.
러시아 북서쪽에 자리한 제2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는 수많은 섬 위에 세워진 도시로 ‘북방의 베니스’라는 별칭을 지니고 있다. 예전에는 페트로그라드와 레닌그라드란 이름으로 불렸다. 도시 곳곳을 아름답게 수놓은 궁전과 성당, 여러 조각은 이 도시의 찬란했던 역사를 짐작하게 한다.
2014년 1월부, 한국과 러시아 비자 면제 협정 발효로 보다 편리하게 다가갈 수 있게 된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문화·예술의 두 축을 이루는 이들 도시로 떠나보자.
[모스크바]

성 바실리 성당, 크렘린 등 역사적 건물 즐비

러시아어로 ‘성벽’을 의미하는 크렘린은 중세에는 각 지방에서 만들어졌다. 그중 모스크바 크렘린은 여러 측면에서 러시아의 중심을 표현한다. 모스크바 한가운데에 자리해 지리적인 중심이고, 대통령과 각료 집무실이 들어서 있기에 정치와 권력의 중심이다. 또한 러시아 문화와 역사의 중심이기도 하다.
모스크바 크렘린은 나폴레옹군의 모스크바 입성 때 발생한 대화재로 인해 소실되었다가 이후 현재와 같이 20개의 탑을 가진 모습으로 재건됐다.

구세주 성당은 시내 중심부 모스크바강에 인접해 있다. 러시아가 1812년 12월 나폴레옹군의 침략을 물리친 것을 기념해 건립한 러시아 정교사원이다. 스탈린 통치 시절에 파괴되었지만 구 소련 붕괴 후 정부의 재정 지원 및 국민 성금을 통해 재건됐다. 성당은 비잔틴 양식 기초 위에 러시아 전통의 교회 건축 양식에 따라 지어졌다. 좌우 대칭의 외형을 지니고 있으며, 내부는 많은 성화들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러시아 문화ㆍ예술의 정수, 모스크바
모스크바 여행의 또 다른 특별함은 곳곳에서 러시아 문화, 예술의 정수를 만날 수 있다는 것이다. 모스크바에서 가장 오래된 극장인 볼쇼이에선 세계 최고 수준의 오페라와 발레 공연이 이뤄진다. 현 극장 건물은 1824년 건축된 것으로 전면의 그리스식 원기둥과 지붕 위의 로마식 전차 장식이 눈길을 끈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상트페테르부르크를 두고 ‘유럽을 향해 열린 러시아의 창’이라고 했던 푸시킨의 표현처럼, 이 도시는 서유럽의 여러 문화에 대해 열려 있었다. 이에 따라 건축을 비롯한 다양한 삶의 양식은 물론 자유주의 사상도 함께 유입됐고, 아이러니하게도 이것이 후에 제정 러시아의 근간을 뒤흔들고 결국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최초의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성공시킨 도시로 만들었다.
세계 3대 박물관, 에르미타주

이 역사적인 도시의 백미는 에르미타주 미술관이다. 역대 황제의 거처와 부속 건물로 이뤄진 미술관으로 영국의 대영박물관,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과 함께 세계 3대 박물관으로 꼽힌다. 현재 조각, 미술품, 발굴 물품 포함 약 250만점을 전시, 1점당 1분씩 감상하더라도 5년이 소요될 만큼 방대한 양의 전시품을 소장하고 있다. 대한항공의 후원으로 한국어 작품 안내 서비스도 제공 중이다.
최초로 표트르 대제의 딸 엘리자베타 페트로브나 여제가 미술품을 수집, 궁전에 전시한 이래 예카테리나 2세가 유럽에서 4천여 점에 달하는 최고 수준의 미술품을 구입했고, 이후 소장품은 계속해서 늘어갔다. 건물 자체도 굉장히 화려해 그 당시 황실의 권위를 한눈에 엿볼 수 있다.
층별로 보면 1층은 원시문화, 구소 동방민족의 문화·예술, 고대 세계문화·예술, 2층은 러시아 문화, 19세기 서유럽 예술(프랑스, 영국, 독일, 스페인 등), 3층은 근대에서 현대까지 서유럽 예술, 동방문화, 고대화폐 등을 전시하고 있다.
성 이삭 대성당은 제정 러시아 시대의 최고 건물이다. 무려 40년에 걸쳐 지어진 성당은 길이 111미터, 폭 97미터, 높이 101미터로 1만 4천명을 수용할 수 있는 거대 규모를 자랑한다. 성당 지붕의 원형 돔 건설에는 100킬로그램의 금이 사용되었다 한다. 내부장식에는 22명의 예술가들이 참여한 것으로 유명하다. 성서 내용을 묘사한 그림 150점, 모자이크 62점, 성당 장식 동상 300여 점 등 뛰어난 예술품이 가득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외곽 핀란드만이 보이는 곳에는 화려하고 웅장한 궁전이 있다. 표트르 대제의 여름 궁전으로 1714년 수많은 건축가, 조경기사, 조각가가 참여해 건설했다. ‘위 공원’과 ‘아래 공원’으로 구분되며, 위 공원에는 표트르 대제의 별궁이 있고, 아래 공원에는 조각상과 분수가 아름다운 조화를 이루고 있다.
네바강 하구에 자리한 토끼섬이라는 이름의 작은 섬에는 이 도시의 중추와도 같던 페트로 파블로프스크 요새가 남아 있다. 표트르 대제가 스웨덴으로부터 러시아를 지키기 위해 건설했다. 요새를 둘러싼 두꺼운 벽은 높이 12미터, 폭 4미터로 5개의 문이 만들어져 있다. 이것은 1706년부터 짓기 시작해 약 35년이 걸려 완성됐다. 6개의 성채 가운데 네바강을 향한 나리시킨스키 성채에서는 매일 정오를 알리는 공포를 쏜다.
1881년 5월 1일, 황제 알렉산드르 2세가 폭탄 테러로 암살 당한 자리에 지어진 그리스도 부활성당은 16~17세기 러시아 건축 양식을 띠고 있다. 피의 사원이라는 별칭으로 유명하다. 성당의 인테리어는 각기 다른 대리석으로 꾸며져 있으며, 수천 개의 조각으로 구성된 모자이크로 처리되어 인상적이다. 외형은 흡사 모스크바 붉은 광장에 있는 성 바실리 성당을 떠오르게 한다.
‘혁명 희생자의 광장’의 꺼지지 않는 불
마르스 광장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중심부에 위치한 공원이다. 오랜 세월 군사 행진과 훈련 장소로 쓰였기 때문에 마르스 광장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원래 이 장소는 ‘큰 풀밭’이라고 불렸으나 대북방 전쟁에서 승리한 이후 ‘즐거운 풀밭’으로 이름이 변경됐고, 18세기 후반에는 다시 ‘차르의 풀밭’으로 명명됐다. 이후 볼셰비키가 1917년 2월 혁명 중 학살당한 많은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이곳에 꺼지지 않는 불을 설치했고, 이 광장에 ‘혁명 희생자의 광장’이란 이름을 붙였다.

※ 기사제공 : 대한항공 스카이뉴스(www.skynews.co.kr)
※ 자료 협조 : 러시아문화원(www.russiacenter.or.kr) / 메디오루스(www.mediorus.com)

서울/인천~모스크바
대한항공 주 5회 운항 (약 10시간 5분 소요)
서울/인천~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한항공 주 2회 운항 (약 9시간 50분 소요)
※자세한 스케줄은 대한항공 홈페이지 참고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유럽 > 러시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 : "가슴 떨릴 때 떠나라, 다리 떨릴 때는 이미 늦는다" (0) | 2016.08.25 |
---|---|
러시아 모스크바 : 강렬한 색으로 제 몸을 장식 (0) | 2016.06.09 |
러시아 상테페테르부르크 : 유럽 도시를 닮으려고 노력한 '북방의 베네치아' (0) | 2016.06.03 |
러시아 모스크바 : 영화 '안나 카레니나' - 모스크바·상트페테르부르크 (0) | 2016.06.03 |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 거기(?)를 덜렁거리며 눈밭에 뛰어들다 (0) | 2016.06.03 |
러시아 이르크추크 : 시베리아의 푸른 눈 바이칼을 찾아, 이르쿠츠크 (0) | 2016.05.31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 러시아 문화 수도, 예술의 꽃 피워내다 (0) | 2016.05.29 |
러시아 : 시베리아 행단 열차, 그 끝은? (0) | 2016.05.24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 유럽으로 활짝 열린 창, 상트페테르부르크 (0) | 2016.05.24 |
러시아 모스크바 : 화려하고 부유한 모스크바 레닌이 벌떡 일어나겠네 (0) | 2016.05.20 |